‘살충제 달걀 파동’ 원인은…

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와 동물보호단체들은 지난 16일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2층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동물보호 업무를 농림축산식품부에서 환경부로 이관하라고 촉구했다.

더많은 고기 위한 욕심 때문
사노위 등 “동물보호는 환경부로”

살충제 달걀의 공포가 전국을 휩쓸고 있다. ‘살충제 달걀 파동’으로 식탁에서 달걀이 사라졌다. 일반 가정의 식탁을 비롯해 군, 학교, 대형마트 등에서도 달걀이 자취를 감췄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발표에 따르면 현재까지 살충제 달걀이 확인된 농가는 전국 45곳. 농림식품축산부가 시중에 유통된 살충제 달걀 48만 개를 압류하고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농가의 달걀은 회수해 폐기한다고 밝혔지만 살충제 달걀의 파동은 쉽게 잦아들지 않고 있다.

살충제 달걀 파동은 닭에게 사용이 금지된 피프로닐을 사용한 것에서 비롯됐다. 피프로닐은 벼룩이나 이 등을 잡는 데 쓰이는 살충제 성분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사람이 다량으로 피프로닐을 섭취할 경우 ‘중간 정도의 독성’이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신장과 간, 갑상샘 등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하지만 달걀 파동의 근본적 해결은 달걀을 생산하는 닭의 사육환경에 있다. 닭 한 마리가 날개를 움직이려면 1880㎠, 돌기 위해서는 1270㎠, 자유롭게 서 있으려면 475㎠의 공간이 필요하다. 하지만 현실은 아파트처럼 쌓아 올린, A4 용지 한 장 정도 밖에 되지 않는 비좁은 철창 안에서 옴짝달싹 못한 채 사육당하고 있다. 이로 인해 동물전염병에 취약하고 해마다 수천만 마리의 닭과 오리 등 가금류들이 조류인플루엔자로 살처분 당하는 비극이 되풀이 되고 있다.

좁은 공간에서 사육되는 닭에게는 전염병 예방을 위해 항생제가 투여되고 있다. 또 비좁은 철창 안의 닭은 진드기 등을 몸에서 떨어뜨릴 수 없어 진드기를 잡기 위해 사용이 금지된 피프로닐을 사용하게 된다. 좁은 공간에서 더 많은 고기를 얻기 위한 인간의 욕망으로 인해 피해는 고스란히 인간에게 되돌아오고 있다. 공장식 축산의 구조가 개선되지 않는 한 조류인플루엔자 등 동물전염병,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살충제 달걀 파동 등은 해결될 수 없다.

공장식축산 개선과 동물전염병으로 인한 대량살처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물보호단체들은 동물복지 실현을 강조하고 있다. 반려동물, 농장동물, 실험동물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동물복지가 실현돼야 한다는 취지다. 이를 위해 동물보호 단체들은 농림축산식품부가 맡고 있는 동물보호 관련 업무를 환경부로 이관하라고 주장하고 있다.

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를 비롯해 동물권단체 케어, 생명체학대방지포럼, 한국동물보호연합 등 60여 단체들은 지난 16일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2층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축산물 증대와 축산인의 권익보호를 우선하는 농림축산식품부가 동물보호 업무를 맡고 있는 것을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박소연 동물권단체 케어 대표는 “농림축산식품부는 산업 이익을 대변하는 부처 논리로 동물보호를 외면해왔다. 조류독감, 공장식 축산문제, 달걀 사태 등을 해결할 의지도 없이 동물보호를 외면해왔다. 규제부처인 환경부로 이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밝혔다. 양한웅 사회노동위원회 집행위원장도 “살충제 달걀 문제는 환경문제로 바라봐야 한다. 대규모 축산업의 입장을 대변하는 농림축산식품부가 동물보호 업무를 맞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