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지정 예고된 해남 대흥사 ‘묘법연화경 목판’.

해남 대흥사 ‘묘법연화경 목판’ 등 사찰 소장 목판 9건이 보물로 지정된다.

문화재청(청장 김종진)은 오늘(11월14일) ‘묘법연화경 목판’ 등 9건을 보물로 지정 예고 했다.지정 예고된 사찰 목판은 재단법인 불교문화재연구소(소장 제정스님)가 비지정 사찰 문화재 가치 발굴을 위해 실시하고 있는 ‘전국 사찰 소장 불교문화재 일제 조사’ 성과 중 하나다. 9건은 양 기관이 2014년과 2015년 충청도, 전라도 지역에서 조사한 사찰 소재 목판들로 완전성, 제작 시기, 보존상태, 희소성 등을 인정받은 문화재들이다.

해남 대흥사 소장 ‘묘법연화경 목판’은 1450년 문종의 병세가 나빠지자 안평대군 이용이 그 발원을 초주갑인자로 찍어낸 것으로 명종 16년(1561년)에 전남 장흥 천관사에서 이를 다시 목판에 새겨낸 것이다. 갑인자본 계열 <묘법연화경>은 황해도 자비령사(1493년), 충청도 무량사(1493년), 경상도 신흥사(1545년) 등지에서 간행했다고 알려져 있으나 대부분 전해지지 않는다. 때문에 대흥사 소장 ‘묘법연화경 목판’은 유일본이자 시기적으로 가장 오래된 판본으로 그 가치가 높다.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목판’은 1545년 오응성이 한글로 옮긴 판본에 기반해 판각한 것으로, 아산 세심사에 소장돼 있다. 한글로 다시 풀어 쓴 언해본으로 총 13판이 전하고 있다. 명종 18년(1563년) 동림산 신심사에서 새긴 것으로, 현존하는 언해본 <불설대보부모은중경> 중 제작 시기가 가장 오래된 것이자 임진왜란 이전에 간행된 언해본 경전의 현황을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다.

서산 개심사 소장 ‘묘법연화경 목판’은 1443년 성달생(1376~1444 고려 말 조선 전기 무신)이 쓰고 새긴 고산 화암사판을 바탕으로 명종 20년(1565년) 충청도 가야산 보원사에서 다시 새긴 것이다. 총 112판 중 1판이 결손돼 111판만 전하고 있다. 임진왜란 이전에 간행된 성달성계 묘법연화경 목판 중 강화 전등사가 소장한 묘법연화경 목판과 더불어 유일하게 전해지고 있는 판본이라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높다.

‘계초심학인문 목판’은 선조 17년(1584년)에 서산 개심사에서 제작한 목판이다. <계초심학인문>은 고려시대 지눌스님이 1205년에 저술한 책으로 불교수행의 초보자들이 경계해야 하는 내용을 담은 책이다. 총 8판으로 결판 없이 완전하게 전하고 있으며, 한 면에 2장씩 판각돼 총 32장이 새겨져 있다. 병충해나 균열 등이 없어 보존상태가 매우 좋다. 1603년에 간행된 하동 쌍계사 소장본(능인암 판각본)보다 10년이 앞서 제작된 것으로, 현존 <계초심학인문> 목판 중 가장 오래되고 완전한 목판이라는 점에서 문화재적 가치가 크다.

‘도가논변모자리혹론 목판’은 선조 13년(1580년) 가야산 보원사에서 제작한 것으로, 총 5판 중 1판이 결판돼 현재 4판이 서산 개심사에 전하고 있다. 목재의 울퉁불퉁한 표면과 부정형한 형태를 그대로 살려 자연 친화적인 느낌이 강하다. 조선 시대에는 <도가논변모자리혹론>이 목판으로 간행된 사례가 매우 드물며 개심사 소장본이 현재까지 전하는 유일본이자 가장 오래된 목판이라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높다.

‘몽산화상육도보설 목판’은 선조 17년(1584년) 개심사에서 제작한 것으로 6판이 완전하게 전해지고 있다. <몽산화상육도보설>은 15~16세기에 가장 활발히 간행돼 현재 20여 종의 판본이 전하는데, 진안 용출사 현암본(1497년) 계통이 가장 많으며, 개심사본은 일월사본(1432년), 자비령사본(1490년), 대광사본(1509년) 계통을 바탕으로 해 판각한 것으로 파악된다. 임진왜란 이전에 간행된 몽산화상육도보설 목판 중 가장 완전한 판본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예수시왕생칠재의찬요 목판’은 선조 10년(1577년) 충청도 서산 가야산 보원사에서 다시 판각한 것으로, 현재 개심사에 26판이 완전하게 소장돼 있다. 원래의 목재 형상을 목판 그대로 활용했기 때문에 모양과 크기가 다양해 조선 시대 목판 문화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 임진왜란 이전에 간행된 <예수시왕생칠재의찬요> 목판 중 가장 오래되고 온전한 수량이 전해진다는 점에서 문화재적 가치가 크다.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 목판’은 불교 교리를 설명한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을 간행하기 위해 판각한 목판으로, 광해 1년(1621년) 충청도 덕산 가야사에서 제작해 현재 개심사에 소장돼 있다. 마지막 장에 새겨진 간기(刊記)를 통해 목판이 판각된 시기와 판각장소, 김국남 등 6명의 시주자, 판각을 담당한 각수 경은(敬訔)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보존상태가 좋은 편으로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 목판 중 가장 오래되고 유일한 판본이다.

‘오대진언 목판’은 선조 37년(1604년) 가야산 강당사에서 간행한 목판으로, 현재 서산 개심사에 소장되어 있다. 산스크리스트어와 한자, 한글을 병용해 풀이해 조선 시대 산스크리트어 활용과 한글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개심사 소장 목판은 학조스님이 쓴 <오대진언> 중에서 ‘수구즉득다라니’ 부분만을 판각한 것으로 9판(28장)이 완전하게 보관돼 있으며, 현재까지 전하는 오대진언 목판 중 가장 오래되고 완전한 판본으로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높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 지정 예고한 ‘묘법연화경’ 등 9건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을 거쳐 각계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